레드버블 저작권 레드버블(Redbubble)을 시작할 때 많은 셀러들이 간과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저작권(Copyright*입니다.
디자인을 만들고, 제품에 적용하고, 판매를 시작한 뒤에야 ‘신고되었습니다’, ‘계정이 일시 정지되었습니다’ 같은 알림을 받는다면 이미 늦은 겁니다. 레드버블은 저작권 보호에 매우 엄격한 플랫폼입니다. 하나의 경고가 전체 계정 삭제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저작권에 대한 이해는 필수 조건입니다.
레드버블 저작권 저작권이란 창작자가 만든 콘텐츠에 대한 법적 권리입니다. 이는 이미지, 일러스트, 텍스트, 문구, 로고, 심벌, 캐릭터, 음악 등 모든 창작물에 적용됩니다. 레드버블에서는 타인의 저작물을 무단으로 사용하거나, 참고 수준을 넘어서 유사하게 제작하는 경우에도 저작권 침해로 간주됩니다.
이미지 무단 사용 | 구글에서 다운받은 캐릭터 PNG | 상업적 사용 불가, 원작자의 권리 침해 |
브랜드/로고 사용 | Nike, Disney, BTS 로고 등 | 상표권 및 저작권 동시에 침해 |
유명 캐릭터 변형 | 심슨 스타일로 패러디한 캐릭터 | 저작권자가 문제 제기 시 정지 사유 |
영화/게임/드라마 관련 문구 | “Winter is Coming”, “Avengers” 등 | 상표권 등록된 문구 사용 불가 |
연예인 초상화 | 실사나 팬아트 스타일 모두 포함 | 초상권 및 저작권 침해 가능성 |
저작권은 단순히 ‘베끼는 것’이 아니라, ‘영향을 받을 정도의 유사함’도 포함됩니다. 중요한 건 “그림을 그렸느냐”가 아니라, “권리가 누구에게 있느냐”입니다.
레드버블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계정 정지 사유는 저작권 침해 콘텐츠 업로드입니다. 특히 아래 항목은 무조건 금지라고 생각하고 접근해야 합니다.
유명 브랜드 로고 | 나이키, 샤넬, 아디다스 등 | ❌ 사용 불가 |
연예인/캐릭터 이미지 | 마블, 디즈니, 포켓몬, 짱구, 스파이더맨 등 | ❌ 사용 불가 |
게임 관련 그래픽 | 포트나이트, 젤다, GTA 등 | ❌ 사용 불가 |
영화/드라마 인용구 | “I am your father”, “Friends” 폰트 등 | ❌ 사용 불가 |
팬아트 | 내가 직접 그려도 해당 캐릭터 기반이면 위험 | ⚠️ 사용 자제 |
유명 밈(Meme) | Pepe the frog, Wojak 등 | ⚠️ 저작권 존재함 |
스포츠 팀 로고/유니폼 | MLB, NBA, EPL 등 | ❌ 상표권 침해 |
팬아트도 상업적으로 사용하면 대부분 침해입니다. 디즈니 스타일로 내가 그려도 판매 목적이면 저작권 위반입니다. 의외로 신고당하기 쉬운 건 ‘밈’, ‘폰트’, ‘패러디’입니다. 반드시 주의하세요.
그렇다면 어떤 이미지나 요소를 사용하면 안전할까요? 퍼블릭 도메인(Public Domain) 또는 상업적 사용(Commercial Use) 가능 라이선스가 명확한 콘텐츠만 사용해야 합니다.
퍼블릭 도메인 | 저작권이 만료되었거나 포기된 콘텐츠 | ✅ 자유롭게 사용 가능 |
CC0 라이선스 이미지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0 / 상업적 이용 가능 | ✅ 출처 표기 없이 사용 가능 |
상업적 이용 가능 무료 이미지 | Pixabay, Unsplash, Pexels | ✅ 대부분 OK, 일부 제한 있음 |
유료 라이선스 구매 이미지 | Creative Market, Envato Elements | ✅ 조건 충족 시 사용 가능 |
참고 출처 명확한 아이콘 | Flaticon (상업용 라이선스 구매 시) | ✅ 유료/출처 확인 후 가능 |
사이트 이용 시에는 반드시 상업적 사용 가능 여부를 필터로 확인하세요. ‘무료’라고 무조건 되는 게 아닙니다. ‘상업적 이용 가능 여부’가 핵심입니다.
레드버블 저작권 레드버블 셀러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문구 디자인 역시 저작권에서 자유롭지 않습니다. 문자 그대로의 복제뿐만 아니라 상표권이 등록된 문구도 사용 금지입니다.
상표 등록 문구 | “Let it go”, “Hakuna Matata” 등 | ❌ 상표권 있음 |
책/영화/가사 인용 | “To infinity and beyond”, “All you need is love” | ❌ 인용 불가 |
밈 문구 | “OK boomer”, “Karen” 등 | ⚠️ 상표 등록 여부 확인 필요 |
일반 명언 | “Stay positive”, “Be kind” | ✅ 일반적으로 안전 |
성경 구절/공공 문장 | “Love is patient” 등 | ✅ 퍼블릭 도메인 가능 |
텍스트도 콘텐츠입니다. 생각 없이 쓰면 저작권에 바로 걸립니다.
레드버블 저작권 레드버블에서 DMCA(디지털 밀레니엄 저작권법) 신고를 당하면 즉시 해당 디자인이 삭제되고, 계정에 경고가 남게 됩니다. 경고가 누적되면 계정이 일시 정지되거나 영구 정지될 수 있습니다.
DMCA 알림 수신 | 이메일로 저작권 신고 안내 | 즉시 확인해야 함 |
콘텐츠 자동 삭제 | 해당 작품은 바로 비활성화됨 | 복구 불가 |
이의 제기(옵션) | 본인이 저작권 보유 시 가능 | 증빙자료 필수 |
경고 누적 | 일정 수 이상 시 계정 제한 | 3회 이상 시 위험 |
고객센터 문의 | 해명 및 요청 가능 | 사유가 정당해야만 검토됨 |
절대 변명으로 해결되지 않습니다. 명백한 저작권 위반은 이의 제기도 무의미합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처음부터 피하는 것’입니다.
일부 셀러들은 "살짝 바꿔서 쓰면 되지 않을까?"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레드버블의 알고리즘은 점점 더 똑똑해지고 있고,
유사 디자인이나 패러디도 신고가 들어오면 수정했다고 해서 안전하지 않습니다.
키워드 기반 자체 문구 제작 | “Frog on Coffee” → “Sloth Before Latte” | 창의성 확보 |
일러스트 직접 제작 | AI나 벡터 도구 활용 | 유일한 스타일 구축 |
감정 기반 주제화 | 우울증, 사랑, 공감 키워드 중심 | 충성 고객층 확보 |
트렌드 연상 유도 | 직접 언급 대신 감성 요소로 표현 | 저작권 회피 + 인지도 활용 |
컬렉션화 전략 | 동일 콘셉트로 시리즈 구성 | 브랜드화 가능성 ↑ |
Canva, Procreate, Figma 등을 활용해 자체 콘텐츠 제작 루틴을 만들면 저작권 걱정 없이 오래 갑니다.
정답은 ‘안전하게 오래 팔 수 있는 디자인’을 만드는 것입니다.
레드버블에서 활동하는 셀러라면 상표권과 저작권을 미리 확인하는 습관이 생존 전략입니다.
USPTO | 미국 상표 검색 | https://tmsearch.uspto.gov |
TESS | 브랜드/문구 상표 검색 | https://tmsearch.uspto.gov/bin/gate.exe?f=tess&state=4804:jflvhs.1.1 |
Creative Commons | 이미지/콘텐츠 라이선스 검색 | https://creativecommons.org |
Public Domain Review | 퍼블릭 도메인 콘텐츠 | https://publicdomainreview.org |
Pixabay | 상업적 사용 가능 무료 이미지 | https://pixabay.com |
Pexels | 상업적 이용 가능 영상/이미지 | https://pexels.com |
Fontsquirrel | 상업적 사용 가능 무료 폰트 | https://www.fontsquirrel.com |
모든 이미지, 문구, 아이콘을 사용할 때는 반드시 ‘상업적 이용 가능’ 필터를 확인하세요. 검색 한 번이 계정 정지를 막을 수 있습니다.
레드버블 저작권 레드버블에서 가장 중요한 원칙은 ‘오래가는 셀러’가 되는 것입니다. 처음 몇 달 열심히 하다 한 번의 저작권 침해로 계정을 잃는 경우가 너무 많습니다. 저작권은 무서운 것이 아닙니다. 제대로 알고, 미리 확인하고, 창작 위주로 작업한다면 오히려 자유로운 셀링이 가능합니다. 지금부터라도 내가 만든 콘텐츠가 안전한지 되돌아보고, 저작권 걱정 없이 오래가는 브랜드를 구축해보세요. 지속 가능한 수익은, 안전한 셀링에서 시작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