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버블 광고 레드버블(Redbubble)은 분명 검색 기반 플랫폼입니다. 하지만 셀러 수가 많아지고, 유사한 디자인이 넘쳐나면서
이제는 단순 업로드만으로는 노출되기 어려운 시대입니다. 이 시점에서 수익을 끌어올리고 싶다면 꼭 알아야 할 것이 바로 광고(Advertising)입니다.
레드버블 광고 레드버블은 셀러가 광고를 직접 집행하는 시스템이 아니라 레드버블 측에서 자체적으로 광고를 돌려주는 구조입니다. 셀러는 광고에 참여할지 말지를 선택하고, 마진을 통해 광고비를 지불하게 됩니다.
광고 이름 | Redbubble Ads Program |
광고 채널 | Google Ads, Bing Ads, Instagram, Facebook 등 |
비용 구조 | 판매된 제품의 수익 일부를 광고비로 사용 |
광고비 비율 | 기본 50%, 최대 100%까지 설정 가능 |
설정 방법 | Dashboard > Account Settings > Marketing & Ads |
참여 조건 | 기본 설정은 ‘참여’, 수동 해제 가능 |
광고비는 실제로 판매가 발생한 경우에만 공제되므로 리스크가 거의 없습니다. 즉, 광고 클릭만으로는 비용이 들지 않으며 판매가 이뤄져야만 수익에서 일정 비율이 공제되는 방식입니다.
레드버블 광고 레드버블 광고는 ‘지출형’ 광고가 아니라, 수익에서 차감되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제품의 기본 마진을 높여두지 않으면 광고 수익이 0이 되는 구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티셔츠 | 20% | 35% 이상 | $20 판매 시 → 약 $3~$5 |
스티커 | 50% | 100% 이상 | $3 판매 시 → $0.50~$1 |
머그컵 | 20% | 40% 이상 | $15 판매 시 → 약 $3 |
포스터 | 20% | 45% 이상 | $25 판매 시 → 약 $6 |
광고비가 최대 수익의 100%까지 적용될 수 있으므로 제품당 최소 $3 이상의 마진을 확보해야 실질 수익이 남습니다. 광고를 돌리려면 마진부터 체크해야 합니다.
레드버블 광고 레드버블은 광고 클릭 수, 전환률 등의 상세 지표는 제공하지 않지만 광고를 통해 발생한 수익은 “Promoted Sales”로 분리 표기됩니다.
Dashboard > Sales History | 날짜별 광고를 통한 판매 이력 확인 |
Dashboard > Earnings Summary | 광고 매출(Promoted Sales)과 일반 매출 구분 가능 |
Product 관리 > 인기 상품 | 광고 성과가 좋은 제품 순위 확인 가능 |
Promoted Sales 수 | 전체 판매 중 광고 판매 비율은? | 높다면 광고 ROI가 우수 |
광고 제품군 편중 여부 | 어떤 제품이 광고 판매에 집중되었는가? | 인기 제품 마진 재조정 가능 |
광고 클릭률 | 제공되지 않음 | SNS/외부 트래픽과 병행 추적 권장 |
광고 성과가 좋은 제품은 컬렉션 상단에 배치하고, SNS에서도 집중 홍보하면 시너지 효과 UP 수익만 보지 말고, 광고 유입이 많았던 제품을 전략적으로 확장해야 합니다.
레드버블 광고 시스템만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실제 많은 수익형 셀러들은 인스타그램, 핀터레스트, 블로그, 틱톡 등 외부 채널을 통해 트래픽을 유도합니다.
인스타그램 | 릴스 + 링크 삽입 | 제품 사용 장면 보여주기 |
핀터레스트 | 제품 목업 핀 + 링크 | 감성 키워드와 함께 고정핀 운영 |
블로그 | 키워드 리뷰형 포스팅 | “Top 10 Aesthetic Stickers” 등 리스트형 콘텐츠 |
틱톡 | 제작 브이로그 + 유머 콘텐츠 | 바이럴 가능성 ↑ |
SNS 바이오에 레드버블 샵 링크 연결 필수
Bitly나 Campsite 등 링크트리 도구 활용 권장
광고는 단지 클릭을 유도하는 것이 아니라 브랜드 정체성과 제품 매력을 함께 전달해야 효과가 있습니다.
레드버블 광고 핀터레스트 광고는 레드버블 셀러에게 가장 효율적인 외부 광고 수단 중 하나입니다. 특히 시각 기반 콘텐츠이면서 검색 기능까지 있어 SEO 유입 + 전환이 동시에 가능합니다.
광고 계정 전환 | 비즈니스 계정으로 변경 필요 |
핀 생성 시 CTA | “Buy now on Redbubble”, “Sticker available here” 등 문구 삽입 |
키워드 삽입 | 핀 제목/설명에 니치 키워드 삽입 |
이미지 최적화 | 정방형 or 세로형 이미지, 텍스트 오버레이 추가 |
광고 예산 | 일일 $2~5 정도로 테스트 운영 가능 |
광고 클릭 후 레드버블 제품 링크로 바로 이동하도록 설정 하나의 핀은 몇 개월, 길게는 1년 이상 지속 유입을 발생시키는 자산형 광고 콘텐츠가 됩니다.
초보 셀러는 무조건 큰돈을 쓰기보다 소액 테스트 → 반응 분석 → 최적화 확장의 순서로 광고를 운영해야 리스크가 적고 효율적입니다.
Step 1 | 수익률 높은 제품 선정 (마진 $4 이상) | - |
Step 2 | SNS 피드/핀 제작 | 무료 |
Step 3 | 하루 $2~5 수준으로 광고 시작 | 소액 테스트 |
Step 4 | 3~7일간 반응 확인 | 도달률/클릭/링크 이동 등 |
Step 5 | 반응 좋은 제품군만 광고 확장 | 일 예산 $10 이하로 운영 |
TikTok, Instagram, Pinterest 광고는 정교한 타겟 설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광고 효율이 높을 수 있습니다. 광고비보다 중요한 건 ‘광고 대상’과 ‘광고 메시지’입니다.
광고를 통해 고객이 유입되더라도 레드버블 스토어나 제품 페이지가 준비되지 않았다면 전환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대표 제품 썸네일 | 눈에 띄는 커버 이미지 설정 |
인기 제품 상단 배치 | 컬렉션 활용, 잘 팔리는 제품 먼저 보이도록 |
키워드 최적화 완료 | 제목/태그/설명 모두 최신 트렌드 반영 |
브랜드 소개글 | 신뢰와 브랜드 정체성 전달 |
동일 스타일 시리즈 | 클릭 후 더 많은 유사 제품 연결 가능 |
광고 클릭 → “예쁘다”로 끝나지 않고 “구매까지 이어지는 흐름”이 구성되어 있어야 광고 효율이 배가됩니다. 광고는 단지 유입만 유도하는 것이 아니라, 전환을 전제로 해야 진짜 ROI가 발생합니다.
레드버블 광고 레드버블에서 수익을 높이고 싶다면 이제 광고는 선택이 아닌 전략적 필수 요소입니다. 플랫폼 광고, SNS 노출, 핀터레스트 검색 광고까지 셀러가 직접 컨트롤할 수 있는 유입 경로를 확보하는 순간, 수익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납니다.